분류 전체보기151 안드로이드 리플렉션 이슈 안드로이드 개념을 공부하던 중 직렬화라는 개념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 직렬화란 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정보를 byte 단위의 코드로 나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객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직렬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중에는 Serializable과 Parcelable을 구현하는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그 중 Serializable은 구현은 상당히 쉬우나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속도가 느린 이유는 내부적으로 Reflect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없는 쓰레기 객체들을 만들어내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GC가 동작해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Reflection은 무엇일까?? Reflection 객체를 통해 클래스의 정보를 분석해 내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말.. 2022. 12. 10. spinner를 커스텀을 하고 이슈도 해결 해보자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11169/android-custom-spinner-size-problems/7011231#7011231 Android: Custom spinner size problems I've made a custom spinner but the sizing isn't exactly what I want it to be. The spinner become far to large to get the spacing in the list that I need. I want to be able to size the rows of the s... stackoverflow.com 이렇게 스피너를 개발 중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했다. Spinner는 디폴트로 .. 2022. 12. 6. 루팅 우회 체크하기 루팅(Rooting)? 루팅은 쉽게 말해 시스템 최고 권한(root)을 얻는 것이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안정적인 기기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루트 권한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 내부 저장소 접근, 권한 변경 등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Frida를 이용한 후킹을 위해서는 루팅된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 때 루팅 탐지 기법이 적용된 애플리케이션은 동작이 어려울 수 있다. 슈퍼유저는 특권제어를 할 수 있는데, 앱에 설치된 모든 권한과 시스템 백업, 다른 버전 안드로이드 설치, ROM 컨트롤 등을 할 수 있다. 시스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개인정보인 연락처, 이메일 등에 접근할 수 있고 자격증명 및 비밀번호에도 접근이 가능하다. 2022. 11. 24. 리사이클러뷰 android:clipToPadding="false" 리사이클러뷰에 패딩을 줄 경우 위아래에 패딩공간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스크롤을 한 경우 패딩공간을 활용하면 좀더 뷰를 활용할수있고 자연스러운(?) 뷰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할 경우 android:clipToPadding="false" 넣어주면 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리사이클러뷰를 얻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리사이클러뷰에 android:clipToPadding="false" 속성을 주는게 좋다고 한다. 2022. 11. 23. 채팅방의 스크롤시 버벅임 현상 배포 이후 채팅방의 버벅임 현상이 발생했다. 이유가 무엇인지 찾아보니 전 배포까지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라이브러리쪽을 유심히 봤는데 constraintlayout 을 Flow을 사용하기 위해 ConstraintLayout 1.1.3 -> ConstraintLayout 2.0.0 으로 올렸던 commit을 발견할 수 있었다.... ConstraintLayout 2.0.0 을 찾아보니 빠르게 그려내지 못하는 리사이클러뷰 이슈가 있었던 것이였다... 대박...이래서 현장을 해보면 이러한 이슈를 겪어볼 수 있다니... 그래서 그보다 높은 버젼을 올려주니 해결이 되었다. 2022. 11. 23. layout Inspector 개발을 하다 보면, 코드만으로는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기 난해할 때가 있다. 이를테면 그려진 화면을 보니 ImageView를 그리는 과정에서 뭔가 오류가 난 것 같은데, 그게 단순히 width 값의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속성값의 문제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거나 할 때. 이럴 때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지금 눈으로 보고 있는 특정 View가 가지고 있는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Layout Inspector는 바로 이런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법은 아주 간단하다. 아래처럼 Tools > Layout Inspector 로 레이아웃 인스펙터를 활성화 시켜주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스튜디오의 오른쪽 아래 부분에 레이아웃 인스펙터가 활성화된다. 상단 부분의 Live.. 2022. 11. 7. FragmentMannager 나는 회사에 가기 전 FragmentMannager을 막 썼었다... 그런데 회사에 가서 바텀 프레그먼트간의 취소 버튼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해 개발을 하다보니 막쓰면 안된다는 것을 알았고 잘 정리 해보려고 한다. 예시1 (activity 내에서) supportFragmentManager.popBackStackImmediate(null, FragmentManager.POP_BACK_STACK_INCLUSIVE) supportFragmentManager.beginTransaction() .replace(R.id.main_fl, fragment, tag) .addToBackStack(tag) .commitAllowingStateLoss() 예시2 (activity 내에서) suppo.. 2022. 11. 3. 하단 이슈에 대해 이번에 우리 회사에서 아래와 같은 QA가 올라왔다. 우리 앱의 하단 네비게이션 바와 안드로이드 자체 하단 바의 겹침현상이 일어났다. 해당 오류는 우리는 하단 네비게이션을 그리기 전에 갤럭시 하단바의 높이를 구하고 그 위에 그리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갤럭시 높이를 구하는 코드의 방식은 안드로이드 버젼에 따른 코드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if (Build.VERSION.SDK_INT >= Build.VERSION_CODES.M) { //갤럭시 하단바의 높이를 구하는 동작 방식 } else { //예외처리 } 그런데 버젼에 따라 자체 하단바가 다 다르므로 한두번씩 이러한 위와 같은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 같다는 의심을 하였다. 여기에 아래와 같은 방어코드를 대입했다. 방어 코드의 의미는 한.. 2022. 11. 3. 생명주기에 대해서 생명주기(Lifecycle) 1) 생명주기란 무엇인가? Lifecycle은 Life + cycle의 합성어로, 삶의 순환이라고 직역할 수 있겠다. 말 그대로 탄생하고 성장하여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면, 이것을 안드로이드 앱에 적용한 것이 바로 Android Lifecycle이다. Activity, Fragment, Service 총 세가지 종류의 Lifecycle이 있으며 오늘은 그 중 Activity의 Lifecycle에 대해서만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2) 생명주기가 필요한 이유 예를 들어보자. 당신은 지금 여자친구와 카톡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친구가 술먹자며 나오라고 전화를 했다. 당신이 전화를 받는순간 전화창이 화면에 보일 것이다. 그러다 약속을 잡고 전화를 끊고 다시 카톡을.. 2022. 11. 3. 다양한 진입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주 회사에서 개발을 하다가 문제에 직면했다. 문제는 아래와 같다. 하나의 액티비티에 다양한 액티비티가 진입을 한다. 그런데 액티비티 D라는 녀석을 기능을 추가하여 액티비티A에 진입을 할건데 난 지금 D에서 넘어왔어. 라는 것을 액티비티 A에서 알고 싶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가장 기본적으로 우리 안드로이드의 액티비티 이동은 Intent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그럴 때 우리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Intent 값에 이전 액티비티의 정보들 담아 넘겨준다. 넘겨줄때 val intent = Intent(this, SubActivity::class.java) intent.putExtra("key1","문자열 전달쓰") intent.putExtra("key2",2021) 받아올때 val value.. 2022. 10. 28. datastore 자동로그인 이제 SharedPreferences 는 없어지고 datastore을 사용해야 한다. 일단 SharedPreferences에 대해 먼저 짧게 알아보도록 하자. SharedPreferences Key, Value 형태로 이용한다. String, Int, Float, Boolean과 같은 원시형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는 XML 파일로 저장된다. 🚨 SharedPreferences의 한계점 UI 스레드(메인 스레드)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API가 설계되었지만, UI 스레드를 블로킹해 ANR을 발생시킬 수 있다. 런타임에 예외가 생기면 에러가 발생해 앱이 강제 종료될 수도 있다. Strong Consistency(강한 일관성)이 보장되지 않아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안전하지 않다. Str.. 2022. 10. 23. Datastore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이제는 SharedPreferences는 deprecated된다고 한다. 이유는 SharedPreferences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SharedPreferences는 비동기 작업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ANR을 발생시킬수 있으며, 오류가 생길 시 확인이 불가능했으며, 런타임에 예외가 생기면 런타임에러가 발생해 잘못 사용하면 앱이 강제 종료 될 수 도 있다고 한다. 또한 Strong consistency가 보장되는 api가 없어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다른 결과값이 생길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가 있어 다양한 처리를 해주어야 했다. # Strong consistency :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용어인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간이 달라도 같은 정보로 처리하는 느낌으로 보인다. Datastore의.. 2022. 10. 23. Android의 Context에 대해서 먼저 나는 Context라는 개념에 대해 사용만 했지 뭔가 확실히 누가 물어보면 답을 하기 애매했다. 그래서 한번 작성해보려고 한다. 먼저 문맥이란 뜻의 Context는 "어떤 객체를 핸들링하기 위한 접근 수단" 의미를 가진다고 한다. 좀더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멀티 테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제 에서 Task들은 운영체제가 정한 기준에 따라 작업을 번갈아가며 수행한다. 이떄, 해당 Task들의 수행상태를 기억하기 위해서 Task마다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것들 Context라고 한단다. 음.....뭔가 이해가 조금씩 되고 있다. 자 그럼 Android 에서의 Context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Android는 여러가지의 실행 형태(4대 컴포넌트 = 액티비티,서비스 등)이 있다. 그래서 클.. 2022. 10. 20. 상속, open 키워드 먼저 회사 2주차쯤 리펙토링하고 싶은 코드를 보았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AllFilter, ProjectFilter, TemporaryFilter 등등 안에 PREF_NAME 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은 코드였다. 가독성도 떨어지고 같은 작업을 수행할거기 때문에 바꿀때 다 따로 바꿔야 하는 무지막지함을 느낄거 같다 판단하고 만져보기로 했다. 그러면서 상속과 Object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한다. 자바에서 상속 방법은 아래와 같다. class ChildClass extends ParentClass {} 코틀린에서는 상속방법은 open을 붙이는데 다음과 같다. open class parentClass{} 만약 ope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할 경우 에러문구가 나온다. 코틀린은 open 키워.. 2022. 10. 13. SDK location not found. Define location with an ANDROID_SDK_ROOT environment variable or by setting the sdk.dir path in your project's local properties file.. 정말 간단한 에러 인데 자주 나오는 에러이니 기억해두자. 바로 SDK location not found 이다. 말 그대로 SDK 경로를 찾을 수 없어서 발생하는 에러이다. 주로 맥 -> 윈도, 윈도 -> 맥으로 프로젝트를 옮길 때 자주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내 프로젝트 디렉터리로 가서 local.properties 파일을 한번 찾아보면 존재하지 않거나 경로가 잘못되어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경로가 잘못되어 있다면 내 PC에 맞게 변경해주시면 된다. 보통 윈도의 경우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android\adk 그리고 맥의 경우 /Users/'사용자 이름'/Library/Android/sdk 현재 우리 회사 예시 sdk.dir=C\:\\Users\\gk.. 2022. 10. 12.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